• 2024. 4. 24.

    by. 백이와 노코의 엄마

    k패스로 대중교통을 이용했을 때, 일정 비율의 금액을 다음 달에 돌려줍니다

    국토교통부는 알뜰교통카드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5월부터 k패스를 도입합니다

     

    k패스안내 썸네일

     

    K패스란?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60회 한도로 이용금액의 일정비율을 마일리지로 환급해 주는 제도로, 5월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k패스는 특정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의 시내교통수단에서 모두 적립이 가능합니다

     

     

    k패스를 사용할 경우 서울 시내버스 기준으로 볼 때 적게는 21만 6천 원에서 많게는 57만 6천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평소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놓치지 말고 신청해 보세요

     

    패스 마일리지 적립률

    k패스는 15회 이상부터 60회 사용분까지를 다음 대상에 따라 차등하여 다음 달에 마일리지로 적립해 줍니다

     

     

    • 일반 : 20%를 마일리지로 환급
    • 만 19세~34세의 청년 : 30%를 마일리지로 환급
    • 저소득층 : 53.3%를 마일리지로 환급

     

    K패스 지원자격

    k패스는 주민등록 상 소재지를 기준으로 하며 정부와 지자체가 50:50으로 재원을 분담하는 사업입니다

    (서울의 경우 60% 부담)

     

     

    k패스는 인구가 10만 명 이상되는 기초자치단체와 세종특별 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시, 서귀포시의 시민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밑에 해당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k패스 사용이 어렵습니다

     

     

    • 강원 : 속초,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 전북 : 김제, 고창, 부안,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 경북 : 문경, 예천,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 울진, 울릉
    • 전남 : 고흥, 화순, 영암, 영광, 곡성, 구례, 보성, 장흥, 강진, 함평, 진도, 완도

     

    K패스 신청방법

    k패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였다면 별도의 가입 없이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앱이나 사이트에서 K패스 회원 전환을 동의하면 자동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알뜰교통카드의 번호 입력 주민번호입력 (주소지 확인용) 약관동의

    회원 전환 바로가기 ( 누리집 ) 링크

     

     

    신규 발급의 경우 k패스 누리집에서 회원 가입과 신용카드를 신청하면 됩니다

    k 패스 누리집 바로가기 링크

     

     

    k패스 카드 발급 전 본인에게 알맞는 k패스카드에 대해 알아보시고 본인에게 적합한 카드를 선택하셔서 교통비와 생활비 모두 절약하시기 바랍니다

     

    k패스카드 전체 비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