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4. 20.

    by. 백이와 노코의 엄마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가 무엇인지부터 가입 조건, 가입방법, 금리, 해지, 납입, 적금담보대출까지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내용을 쉽게 풀어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청년도약계좌 총정리해주는 일러스트 썸네일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목돈을 모을 수 있게 돕는 금융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5(60개월) 만기로 5년 동안 매월 70만 원씩 납입할 경우에 5년 후에 5000천만 원을 모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월 천 원부터 70만 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소득이 적고, 납입액이 많을수록 정부의 지원액이 많아집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청년도약계좌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의 청년으로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 군복무기간은 나이에서 차감해 줍니다.

     

     

    예를 들어 현재 만 36세이고 군 복무기간이 2년이라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군복무기간은 최대 6년까지 차감해 주며, 6년 군복무를 했다면 40세까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지만 가입이 가능하니 꼼꼼히 읽어보세요 

    쉬운 용어로 풀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첫째, 개인소득요건에 적합해야 합니다

    1) 청년도약계좌는 국세청을 통해 소득을 증명할 수 있는 경우에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2)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는 날짜 기준으로 전년도 또는 전전 연도 과세기간 (1월 1일~12월 31일 1)의 총급여가 75,000,000원 이하여야 합니다. 만약 근로 외의 소득이 있거나 본인이 사업자라면 종합소득이 63,000,000원 이하일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기준에 부합해도 소득에 따라 정부지원금 차이가 있습니다

    글 처음에 이야기한 것처럼 소득이 낮아야 정부의 지원액(정부기여금)이 많습니다

     

    소득 금액 정부기여금 ()
    1년의 급여 종합소득 지급 한도 매칭 비율 한도
    2400만 원 이하 1600만 원 이하 40만 원 6% 24천 원
    3600만 원 이하 2600만 원 이하 50만 원 4.6% 23천 원
    4800만 원 이하 3600만 원 이하 60만 원 3.7% 22천 원
    6천만 원 이하 4800만 원 이하 70만 원 3% 21천 원
    7500만 원 이하 6300만 원 이하 정부기여금 지급 안 됨

     

    둘째, 가구소득요건에 적합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본인 소득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의 소득금액을 평가항목으로 적용합니다 

    가구원 전체의 중위소득이 250% 이하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1인 청년가구일 때, 연 소득이 5천834만 원 이하 / 2인 가구일 때, 9천780만 원 이하 / 3인 가구일 때, 1억 2천584만 원 이하 / 4인 가구일 때, 1억 5천363만 원 이하이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셋째,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금융소득과세자일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는 현재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더라도 3년 이내에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자였다거나, 가입 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된 경우에도 가입이 불가능하고 납입이 중단됩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자란, 은행 예금의 이자, 주식의 배당금에 해당하는 소득이 연 2000만 원 이상이 될 때 금융소득종합과세를 적용합니다

     

     

    넷째, 청년희망적금을 납입 중에 있거나 보유하고 있는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과 함께 가입이 어렵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 만기자 또는 만기예정자를 위해 일명 갈아타기라고 불리는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청년도약계좌는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등의 협약된 은행 앱으로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은행에 가입신청을 하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심사를 한 후 가입 가능여부를 통보해 줍니다 통보 내용에 안내에 따라 앱을 통해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시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의 신청기간은 2023615일부터 20241231일까지입니다

    하지만 은행별로 월마다 청년도약계좌를 신청을 하는 기간과 자격 검토 후 계좌를 개설하는 기간은 다릅니다

    하단 링크를 청년도약계좌 신청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링크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4.5%에서 6%이며, 3년 동안은 고정금리로 적용이 되고 2년 동안은 변동금리로 적용이 됩니다

     

    금리란, 내가 낸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납입했을 때 105만 원을 돌려받는다면, 원금 100만 원, 이자 5만 원, 금리는 5%가 되는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에 참여하는 은행 11곳의 금리는 모두 4.5%로 동일합니다

     

     

    또한, 은행 별로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는 은행에 첫 거래를 하거나, 급여이체를 받거나,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는 등의 은행에서 제시하는 조건에 충족하면 금리를 높여주는 것인데, 우대금리는 1%부터 1.7%로 은행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청년도약계좌에 참여하는 은행 11곳은 모두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를 합한 최고금리가 연 6%로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최종 신청하기 전에 금리와 우대금리를 은행별로 꼭 비교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단 링크를 통해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금리비교가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비교 바로가기 링크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청년도약계좌의 일시납입은 청년희망적금의 만기자이고 청년도약계좌의 조건에 적합하면 일시납이 가능합니다 

    또한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지 않았어도 청년도약계좌 조건에 부합한 청년도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자의 경우 납입이 만기 되어 원금과 지원금 받았을 때 이것을 청년도약계좌로 옮겨 청년도약계좌에서도 지원금을 받는 방식이며, 청년도약계좌의 일시납입 한도는 최소 200만 원부터 청년희망적금만기 수령으로 돌려받은 금액 전부까지 가능합니다

     

     

    정해진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기간이 지날 경우 월 납입금약은 70만 원으로 제한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을 하더라도 만기일은 5(60개월)으로 동일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과 자주 하는 질문은 하단 링크를 통해 확이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자세히 알아보기 링크

     

    청년도약계좌 해지

    청년도약계좌는 중도 해지가 가능합니다

    , 청년도약계좌를 3년 이상 유지하고 중도 해지하는 경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적금을 통해 얻은 이자에 대한 세금을 감면해 주는 비과세를 적용합니다

    또한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보조금인 정부기여금도 60% 수준으로 지급합니다

     

     

    은행에서도 3년 이상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한 후 중도 해지하는 경우, 시중은행의 3년 만기 적금상품과 같은 수준의 금리를 적용해 준다고 합니다 대략 3.2~3.7%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적금담보대출

    청년도약계좌를 담보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하지 않고 청년도약계좌를 담보로 대출을 받아 사용하고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적금담보대출 한도는 청년도약계좌에 납입한 금액의 90~100%로 은행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 적금담보대출의 금리는 청년도약계좌에 적용되고 있는 금리 + 은행의 우대금리를 더한 금액입니다

    은행의 우대금리는 은행별로 1~1.7%로 은행별 차이가 있으니 가입입은행을 통해 자세히 설명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