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5. 15.

    by. 백이와 노코의 엄마

     

     

    ISA계좌는 내가 예금 적금 주식 채권 ETF 등을 통해 열심히 모은 돈을 이자와 함께 실수령할 때, 세금으로 떼이는 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절세에 최적화된 통장입니다

     

     

     

     

    ISA계좌는 1억 만들기 통장으로 유명합니다 ISA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는 금액이 1억이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새로 발표된 개정안에서는 입금액이 연간 4000만 원, 운용 가능금액이 총 2억 원으로 상향조정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ISA통장에 가입하는 사람들이 그려진 일러스트 썸네일

     

    ISA계좌란?

     

    ISA계좌는 국가가 장려하는 세금절감에 특화된 금융상품입니다

    ISA계좌는 개인 종합 자산 관리 계좌로 Individual Savingd Account의 약자로 ISA계좌에는 주식 예금 ETF 채권등을 모두 모아 넣을 수 있습니다

     

     

     

    ISA계좌 비과세

     

    ISA계좌의 대표적인 장점은 비과세입니다

    국가가 만들거나 권유하는 금융상품들은 대부분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우리가 예금이나 적금을 통해 이자가 발생하면 이자도 소득으로 보기 때문에 이자소득세라는 것을 떼어갑니다

     

    예를 들어

    이자로 100만 원이 받았을 때 이자소득세 15.4%를 떼고 내 손에 들오는 돈은 846,000이죠

     

     

    2000만 원을 각각 예금했을 때 이율 4%로 가 같다고 가정,

    이자에 대한 과세와 비과세 비교

      ISA계좌 일반 예금통장
    이자  80만원 80만원
    세금 비과세 과세
    이자소득세 (15.4%) 0원 12만 3천 200원
    실수령액 80만원 67만 6천 800원

     

    비과세란, 발생한 이자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이자소득세를 떼어가지 않는 것이죠

     

     

     

     

    ISA계좌 주의사항

     

    현행 ISA계좌는 1년에 최대 2000만 원까지만 입금이 가능하며 ISA계좌 하나에서는 최대 1까지만 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ISA계좌는 하나만 개설할 수 있습니다

    단, 만기 또는 해지 후 재가입이 가능하며 재가입 횟수 제한은 없습니다

     

     

     

    ISA계좌의 최소 의무가입기간은 3입니다

    만약 의무가입기간 도중 돈이 필요해서 해지한다면 출금은 가능합니다

    , 원금과 이자를 모두 출금할 수 있지만 이자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즉, 비과세 혜택을 적용받지 못하는 것이죠

     

     

     

    여기서 ISA계좌의 장점의무가입기간 계좌를 개설한 시점부터 3이라는 점입니다

    돈을 넣어두지 않아도 되니 빨리 계좌를 개설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예를 들어 2024년 5월 계좌를 개설만 하고 2025년 6월부터 돈을 넣고 운용을 해도
    계좌를 개설한 시점에서 3년 후인 2027년 5월부터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는 겁니다

     

     

     

    ISA계좌 가입유형

    ISA계좌 가입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ISA계좌 가입유형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형
    가입조건 만19세이상 또는

    직전년도 근로소득이 있는 만 
    15~19세 대한민국거주자
    직전연도의 급여가 총 50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3800만원 이하인 대한민국거주자
    전년도 종합소득이 3800만원 이하인 농어민 거주자
    비과세 한도 200만 원 400만 원
    납입 한도 연 2000만원 최대 1억 원

     

     

    ISA계좌 장점

     

    ISA계좌는 납입금 이월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연 납입 한도가 2000만 원인데 2024년에 500만 원만 넣었을 경우 2025년엔 3500만 원을 넣을 수 있는 것입니다

     

     

     

    ISA계좌에서 내가 모은 돈의 이자가 비과세 한도를 넘어갈 경우 초과된 부분에 대해서만 9.9%분리과세를 부과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서민형 ISA계좌 가입자인데 이자로 500만 원의 소득이 발생했다면 한도 400만 원보다 초과된
    100만 원에 대해서만 9.9% 분리과세(99,000원)를 내면 되는 것입니다

     

     

     

    ISA계좌는 중도인출도 납입한 원금에 한에서 횟수 제한 없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2000만 원을 입금했고 이자가 200만 원이 생겨 계좌에 2200만 원이 있다고 해도 2000만 원만 인출이 가능하며 횟수에 제한이 없다는 것입니다

     

     

     

     

    ISA계좌 개정안

    ISA계좌 현행 vs 개정안

      현행 개정안
    납입한도 연 2000만원 / 최대 총 1억 연 4000만원 / 최대 총 2억
    비과세 한도 서민형 400만원 / 일반형 200만원  서민형 1000만원 / 일반형 500만원 
    가입대상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자는 가입불가 금융소득종합과세자도 가입가능

     

    , 국내주식 국내 주식형 펀드투자만 가능

     

     

     

    ISA계좌 종류

    ISA계좌 종류

      개설방법 선택 tip
    중개형 증권사 어플 주식과 채권을 다룸 / 국내 주식을 선택해서 운용하고 싶다면 선택
    신탁형 주거래 은행 어플 예금과 주식을 다룸 / 4% 예금 적금가능 + 주식 +ETF 골고루 하고 싶다면 선택

    원금 손실의 우려가 없는 예금 / 적금만 운용도 가능

     

     

     

    ISA계좌 손익통산

     

    ISA계좌의 또 큰 장점이 바로 손익통산입니다

    손익통산이란, 손실난 금액과 이익난 부분을 합산하여 세금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가지고 있는 A라는 주식에서 –500만 원 /  B라는 주식에서 600만 원의 이익을 났을 경우,

     

    손익통산이 적용되는 계좌에서는 나의 이익을 100만 원으로 보는 반면

    일반계좌에서는 나의 이익을 600만 원으로 봅니다

     

    일반계좌는 600만 원에 대한 이자소득세 15.4% (924,000원)를 떼어갑니다.

     

    ISA계좌는 100만 원을 소득으로 보며 일반형이라면 200만 원까지 비과세의 혜택을 받기 때문에 100만 원을 그대로 받게 되는 거죠